1) 깃허브란
깃허브는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원격 저장소입니다.
원격저장소는 지역저장소(본인의 컴퓨터)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뜻합니다.
특히 백업, 협업을 할 때 유용합니다.
깃허브는 대부분의 개발자가 이용하고 있고, 오픈소스가 많이 올라와있기 때문에
개발자라면 아주 유용한 서비스입니다.
아직 가입하지 않으신 분은 아래 게시글 참고해서 가입해주세요:)
[깃허브 가입하기]
오늘은 깃허브에 가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 깃허브는 많은 개발자들이 쓰고 있고 개발자라면 필수로 가입하는 서비스이죠?! 같이 가입해봐요:) https://github.com/ Build software better, togethe..
mminky.tistory.com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) 원격 저장소(repository) 만들기
깃허브에 로그인 후 '+'버튼을 누르면 아래 사진과 같은 메뉴가 나타납니다.
새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'New repository'를 선택합니다.
위의 예시처럼 필요한 항목을 입력 후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.
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는 저장소 소개를 작성하는 readme파일을 기본으로 만들어준다는 뜻 입니다.
(책에서는 readme파일을 나중에 공부하기 때문에 체크하지 않았습니다.)
Add.gitignore은 깃에서 무시할 언어를 선택하는 것 입니다. ( 어떤 것을 .gitignore에 넣을지 )
저장소가 다 만들어지면 위와 같이 https주소가 나타납니다.
옆에 있는 버튼(아래 사진 첨부)을 클릭하면 주소를 쉽게 복사할 수 있습니다.
제 저장소 주소는 https://github.com/mmingyy/doit-git.git 이네요 :)
[ 깃허브 공동 작업자 collaborator 추가 ]
Settings -> Manage access -> Invite a collaborator -> 이메일/닉네임 입력해서 추가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본 글은 Do it! 깃&깃허브 입문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
'깃 & 깃허브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 05] 깃허브로 협업하기 (0) | 2020.07.23 |
---|---|
[CH 04] 깃허브로 백업하기 2 (깃허브에 연결, openSSH) (0) | 2020.07.23 |
github remote origin 수정 방법 (0) | 2020.07.22 |
Git Clone & Git Pull 차이 (3) | 2020.07.17 |
[ 깃 - 안드로이드 연동 ] 초기 커밋 & 저장소 만들기 (0) | 2020.05.19 |